목록전체 글 (40)
jones
감각 경로들 사이의 진화적 경쟁 감각 경로들 사이의 진화적 경쟁. 자연선택설이 진정으로 맞는다면 진화 중에 있는 종이야말로 가진 재료를 써서 전달 장치를 되도록 완벽하게 조립하려는 의사소통의 기술자로 비유될 수 있다. 미생물과 해면동물 그리고 균류와 기타 최하의 후생 무척 추동 물은 화학수용과 촉각 반응을 많이 갖고 있다. 시각과 청각 시스템을 형성하는 데는 다세포성 수용기관들이 필요하고 청각 신호에는 역시 특수 발음키 관들이 갖추어져야 한다. 전기 시스템 또한 다세포성의 신호 및 수용 장치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생물이 더 원시적이고 또 그 체형이 단순하면 할 수 록 화학적 의사소통에의 의존도가 높아진다. 감각 경로의 선택에 대한 계통 발생적 억제 효과는 고등무척추 동물과 척추동물의 경우 덜 명료하다...
시각 의사소통 방향성 유럽산 검정 뇌 조L yr urus tectrix와 북미 산 대형 뇌조Tympanuchus cupids의 울음은 3~5km에까지 들린다. 그러나 같은 새들의 시각 과시는 1km 이상을 넘지 못하고 보통 그 이내에 미칠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들이 동물들의 소리가 최대한 먼 거리까지 미치도록 진화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로 동물이 내는 소리의 음량과 주파수는 다름 아닌 신호 자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개체들에만 도달되도록 만들어져 온 듯하다. 그 이상을 넘어 전파한다는 것은 포식자들을 불필요하게, 그리고 위험스럽게 불러들일 뿐이다. 물론 때에 따라서는 신호를 될수록 먼 데까지 미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구애자에 있는 수컷들의 경우나 새끼를 잃어 심한 고통..
화학신호의 몇가지 장점 이들은 깜깜한 곳과 장애물이 있는 곳에서도 전파된다. 그뿐만 아니라 에너지효율이 커서 간단한 화합물인 경우에서조차 1㎍ 이하로도 몇 시간 또는 여러 날 신호를 지속할 수 있다. 페로몬은 생합성 하기에 에너지 소모가 적었지만 그것을 방출하기 위해서는 단지 샘 저장소 gland reservoir를 열거나 선 상피 표면을 뒤집기만 하면 된다. 페로몬은 동물이 사용하는 신호 중에 전파범위가 가장 클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즉 한쪽으로는 접촉에 의한 화학수용이 나 수 밀리미터 또는 그 이내 거리에서 전달할 수 있어 미생물들의 의사소통에 이상적이면서 다른 한쪽으로는 생합성과 수용 상의 어떤 급격한 변화를 수반하지 않고도 수 km 거리에까지 활성화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그 수명도 길어서..
감강통로란 무엇인가 의식화에 대한 개념을 얻고 나면 신호라는 것은 종에 편리한 대로 그 어떤 생물학적 과정으로부터도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의사소통체계의 진화에는 극단적인 기회주의가 작용한 것 같은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따라서 몇 가지 감각유형을 마치 이들이 시장에서 메시지를 운반할 특권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에서 하는 상황에서처럼 각기의 장단점을 비교해 봄이 좋을 것이다. 좀 더 알기 쉽게 말하면 종이란 에너지나 정보의 능률 또는 이 두 가지 모두의 능률을 극대화하고 감각 신호들이 조합을 통해 진화한다고 그럴듯하게 가정할 수 있다. 이제 주요감각 양식들을 특히 경쟁능력 면에서 이 들의 물리적 성질이 나타내는 바를 비교 검토하기로 한다. 화학적 의사소통. 동종의 구성원들 사이의 의사소통에 쓰인 물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