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0)
jones
곤충과 척추동물에서 보는 극단적인 구애 과시 동물학자들까지도 대개의 동물 의사소통은 서로 자극과 반응을 교환하는 간단한 신호로 이뤄진다고 믿고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견해이다. 이러한데 가지치길 식의 단순성은 사실상 미생물과 여러 가지 하등 후생 무척추동물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수만 개 혹은 그 이상의 뉴런을 포함하는 뇌를 갓 는 동물에서의 사회 행동은 훨씬 복잡하고 교묘한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일 반론은 여러 가지 실례를 통해 잘 지지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러한 행동의 교환이 얼마나 복잡할 수 있는지를 말하기 위해 이미 분석이 잘 이뤄지고 〈보통) 볼 수 있는 의사소통체계로서 비둘기의 구애 행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그런 다음 현재까지 발견된 몇 가지 가장 발달한 동물에서의 체계를 살펴..
복잡하고 단계적인 신호체계 만약 이 낙오자들이 곧 제대로 따라오지 못하면 어미는 잠시 자기가 까이 있던 오리 새끼들을 잊고 되돌아간다. 어미가 낙오된 새끼들에 가까이 가면 이들은 모두 인사를 나누고 대화 울음 conversation calls)을 교환한 (Lorenz, 1970). 이와 비슷한 신호가 하마드리아스바부운의 우위 수컷에서 보는 출렁 걸음에 포함되어 있다. 이 동물은 영장류로서는 비상할 정도로 집단의 움직임을 통제한다. 만약 길을 떠나려고 하면 꼬리를 쳐들고 궁둥이를 좌우로 율동적으로 흔들면서 크고 빠른 걸음을 밟아 나간다. 이 움직임은 아마도 하위 개체들 이 뒤에 따라오도록 유도하는 것 같다(Kummer, 1968). 꿀벌들은 인간 이외의 어떤 척추동물도 따를 수 없는 극적인 지도상 lead..
토큰은 일반화된 강화 자극이다 토큰 강화. 학교 상황에서 행동 수정이나 학습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흔히 사용하는 방법이 토큰 강화이다. 토큰으로는 별표나 딱지 등과 같은 물건 이 주로 사용되며, 돈처럼 교환 가치가 부여될 때 강화 자극으로서의 힘을 발휘한다. 예를 들면, 일정 기간 인사를 잘하여 토큰 10개를 받았다면, 나중에 교사는 그것을 공책 1권과 교환해 준다. 이처럼 토큰과 교환되는 물건을 교환 강화 자극 또는 후속 강화 자극이라고 한다. 어느 만성 병동의 환자들은 식사 때마다 간호사가 거들어 주지 않으면 식사를 하지 않았다. 치 효자는 그들의 행동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즉, 간호사의 관심을 끌기 위해 식사 투 정을 하는 환자에게 관심을 보여줌으로써(정적 강화) 오히려 그 행동을 악..
차별강화란 무엇인가 사실 인간 행동 중에는 부적 강화에 의하여 조절을 받고 있는 것이 대단히 많다. 교통 규 찍을 위반하는 운전사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차선을 잘 지키고, 규정된 속도로 달리는 차를 세워 “운전을 참 잘하는군요”라고 정적 강화를 해 주는 교통경찰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 보다는 교통경찰이 항상 부적절한 운전에 대해서는 벌금을 물게 한다는 인상을 주게 마련이다. 벌금을 물게 된다는 위협 때문에 대부분의 운전사는 차선을 지키고 속도 제한을 지키 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이와 같은 위협으로서의 부적 강화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벌금을 물게 하는 사람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 부분의 부모나 교사는 물론 사회 제도까지도 시행하기에 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