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0)
jones
장애인과 특수교육의 이해 건강 진단. 결혼은 흔히 사랑을 전제로 한다고 하지만, 두 사람의 행복을 전제로 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런데 부부간의 사랑은 가정의 행복을 위한 필요조건일 수는 있으나, 충분조건이라 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만약 자녀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다면 어떤 의미로든 행복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결혼 전 요인으로서 가장 시급한 것은 결혼 전에 건강진단서를 교부하는 일이 라고 생각한다. 사랑하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결혼하기에 앞서 상호 간에 건강진단서를 교부하는 것은 기본적인 예의에 속한다. 이것은 본인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만, 상 대방의 건강을 위해서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상대방의 건강을 확인한다는 측면이 우리나라 의 정서에 맞지 않는 측면도 있을 수 있다..
장애발생의 원인 규명 통계적으로물질에 간직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유전정보를 가진 물질을 유전인자(遺傳因子)라 고 부른다. 유전인자는 성염색체라고 하는 보다 큰 덩어리의 물질 속에 배열되어 있고, 염색 체는 세포핵 안에 있는데, 난자와 정자의 생식세포에 의해서 다음 세대에 전달된다. 유전인자 그 자체는 디옥시리보핵산(DNA : deoxyribonucleic acid)라고 하는 복잡한 분 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의 나선형으로 얽혀 있다. 이 핵산은 탄수화물·지방·단백질 등과 같은 일반적 분류에는 해당되지 않으며, 단 백질과 비슷하지만 단백질은 아니다. DNA 분자구조. 유전 인자, 즉 디옥시리보핵산은 사실상 여러 가지 형태의 세포를 어떻게 만들어 나갈 것 인가를 단백질 분..
장애인의 출현율 장애인 출현율은 2.35%로, 그리고 가족 중 장애인이 1명 이상 있는 장애인 가구 수는 953,000가구(전체 가구의 약 7.5%)로 추정되었다. 또한 질병이나 각종 사고·재해 등 후천 적 요인에 의한 장애인 비율이 88.1%로, 90년 82%에 비해 6%정도 증가한 반면, 유전을 포 함한 선천적 요인에 의한 장애인 비율은 11.9%로 낮아졌다. 그리고 60세 이상의 장애인 비 율이 44%로 나타났는데, 80년 12%, 90년 35%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와 같은 노령 장애인의 증가 추세는 외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일본은 60세 이 상의 장애인이 전체 장애인의 63%를 차지하고 있다. 이 조사 결과와는 달리, 장애인 관련 학계나 단체들은 우 리나라 ..
장애인의 이해 장애의 개념 장애인의 이해 장애의 개념 일반적으로 장애(障碍)란 ‘가로막아서 중간에 거치적거림'을 뜻한다. 예를 들어 “부정 부 패는 사회 발전의 장애 요소이다” 혹은 “장애물 경주에서 누가 우승하였는가?” 등의 말에 서, 장애는 '저해하다, ‘거치적거리다'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RARYL EDIAS 그러면 장애인(障碍人)이라는 말의 ‘장애’도 같은 의미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안 다. 부정부패는 사회 발전을 저해하고, 장애물은 달리는 사람에게 거치적거리는 물건이다. 다시 말해서 장애의 방향이 밖으로 향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의 '장애'는 신체적·정신적 능력이 온전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것이 다른 사람이나 사회에 폐를 끼치는 것이 아 니라 일차적으로 본인에게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