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nes
특수교육은 관점에 따라 각기 달리 정의된다 본문
특수교육은 관점에 따라 각기 달리 정의된다
오늘날 장애인 서비스에 관한 한 정상화(正常化)는 시대정신이라 할 수 있다. 장애인의 정상화는 일반인과 가능하면 동일한 환경에서 먹고, 입고, 자고, 공부하고, 놀고, 생활하는 것을 강조한다. 정상화의 원리는 장애인도 보통 ‘정상’이라고 간주되는 사람들과 차이가 있다는 사고방식에서, 사실은 그렇게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여 통합을 강조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애인 서비스의 변화는 특수교육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새로운 틀이 짜이고 있는 추세이다. 장애인 정상화라는 시대정신에 걸맞은 특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paradigm)을 정의 · 목적 · 대상 · 내용 · 방법·시기 · 환경 · 접근방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수교육의 정의. 그 중 법적 측면에서 특수교육을 정의한 것 이 가장 널리 알려져 왔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는 특수교육을 “특수교육 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 교육방법 · 교육매체 등을 통하여 교과교육·치료교육 · 직업교육 등을 실시하는 것”(특수교육진흥법 제2조 1항, 1994. 1. 7. 법률 제4716호)으로 정의하고 있다. 1975년에 통과된 미국의 공법 94-142, 장애인 교육법은 장애 아동을 “정신지체 · 난청 · 농· 지체장애 · 건강손상 · 언어장애 · 시각장애 · 정서장에를 가진 아동 혹은 특수교육과 더 많은 지원을 필요로 할 정도로 특정 학습 문제를 가진 아동"으로, 그리고 특수교육을 “교실수업·체육수업 · 가정교육 · 병원(기관)에서의 교육 등을 포함하여 장애 아동의 독특한 요구에 맞추고자 특별히 고안된 교수로서, 부모나 보호자에게 비용을 부담시키지 않는 교육”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밖에도 행정적 측면이나 사회적·정치적 측면에서도 특수교육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행정적 측면에서의 특수교육은 학급에서 일정한 교사 대 학생 비율을 요구하고, 또한 아동의 특수교육적 요구에 따라 지원금이 달리 배분되는 학교체제의 일부로 간주된다. 그리 고 사회적·정치적 측면에서의 특수교육은 시민권 운동의 신장이나 장애인에 대한 일반사회의 태도 변화 등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들은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특수교육이 무엇이고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가를 정의하는 데 나름대로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특수교 육의 본질을 규명하기에는 부족하다. 특수교육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이라는 말의 ‘특수한'(special)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교육이라는 용어 앞에는 여러 가지 수식어가 붙는 것이 보통이며, 그 수식어들은 나름대로 독특한 의미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유아교육은 대상을, 시청 각 교육은 방법을, 현장교육은 장소를, 과학교육은 내용을, 가정교육은 장소를 강조하여 붙인 용어들이다. 그러면, 특수교육의 '특수'는 무엇을 강조한 말인가.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는 '특수'의 의미를 대상 · 내용 ·방법·장소 모두를 강조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왔다. 즉, 특 수교육이란 특수한 아동에게, 특수한 내용을, 특수한 방법으로, 특수한 장소에서 가르칠는 것으로 이해하여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와 같은 식으로 특수교육을 이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최근에는 특수교육을 교수(teaching)의 관점에서 누가, 무엇을, 어디에서, 어떻게 가르치 는가를 중심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누가 : 특수교육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그 대상이다. 특수교 육 대상은 그가 지니고 있는 특수교육적 요구로 말미암아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한 자를 말한다. 특수교육 교사는 물론 일반교육 교사도 특수요구(special needs)에 무 응할 수 있도록 특별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또한 교사들은 심리학자 · 언어 병리학자·물리 치료사·작업치료사 ·심리치료사 · 영양사·의사 등은 물론, 부모와 가족 등 모든 관련 인 사들과 함께 특수 요구에 대처해야 한다. 따라서 특수교육을 특수교육 교사만이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무엇을 : 특수교육은 무엇을 가르치느냐 하는 교육과정(curriculum)에 의해 일반교육 구분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성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달하는 예를 들면, 옷 입고 벗기, 화장실 사용하기, 식사하기와 자조 기능은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중증장애 아동들에게는 차조기 이 중요한 교육과정의 일부가 된다.
'장애아동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교육의 대상 (0) | 2021.03.09 |
---|---|
장애아동에게 특수교육의 목적 (0) | 2021.03.09 |
학습장애아를 규정하는 몇 가지 기준들 (0) | 2021.03.09 |
자폐성 아동에 대한 바른 이해 (0) | 2021.03.09 |
지체장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 (0)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