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jones

장애아동에게 특수교육의 목적 본문

장애아동 특수교육

장애아동에게 특수교육의 목적

jones 2021. 3. 9. 15:00

장애아동에게 특수교육의 목적

어떤 장애 아동에게는 장애 그 자체의 벽을 결나 보상하기 위해 특별한 기능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 아동은 점자를 읽고 쓰기 위해 특별한 훈련을 받아야 하지만, 일반 아동은 그럴 필요가 없다. 결론적으로 일반교육 체제에서는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정하지만, 특수교육 체제에서는 아동의 개별적인 요구에 따라 교육과정이 결정된다. 어디에서 : 특수교육은 어디에서 실시되느냐에 따라 일반교육과 구분되기도 한다. 서구에서는 대부분의 장애 아동들이 일반학급에서 공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특수교 육요 구 아동의 상당수가 분리된 특수학교·학급에 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특 수교육요구 아동이 어디에서 배울 것인가 하는 문제는 가닥이 잡혀가고 있는 중이다. 즉, 장 차 그 아동이 살아갈 바로 그 환경에서 실용적인 일상생활 기능과 직무기술을 배워야 한다 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소위 지역사회에 바탕을 둔 교수(community-based instruction)는 이와 같은 견해를 반영한 것이다. 어떻게 : 특수교육 교사들이 어떻게 가르치느냐 하는 교수방법의 측면에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을 구분 짓기도 한다. 어떤 특수교육 교사는 학생들과 의사소통을 위해 수화를 사 용하기도 한다. 또 어떤 특수교육 교사는 자기 이름과 다른 사람의 이름을 변별시키기 위해 시각적 자극을 점차 줄여 나가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특수교육 교사가 사용하는 교수방법이 따로 있고, 일반교육 교사가 사용하는 교수방법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다 시 말해서, 훌륭한 특수교육 교사가 사용하는 교수방법과 훌륭한 일반교육 교사가 사용하는 교수방법은 모두가 기본적인 교수법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장애영역에 따라 특정 한 교수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다. 실제로 한 연구(에서 관련 문헌들을 검토한 결과, 학습장애·경도 정신지체 · 정서장 애로 명명된 학생들에게 특별히 효과적인 특정 교수방법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모든 특수교육 교사들은 체계적인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고 평가하는 절차에 능숙해야 한 다. 특수교육의 목적. 국가가 시민들을 교육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자원을 소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대생들 은 유능한 의사가 되기 위해 교육을 받는다.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특수교육요구 아동들을 가르치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 교육을 받는다. 그러면 특수교육을 받는 장애 학생들은 어떠한가. 그들을 교육하는 목적은 읽고, 이해하고, 계산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있는 가, 아니면 장차 살아갈 사회에서 시민으로서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데 있는가. 모두가 견해를 같이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특수교육의 목적은 미래 사회에서의 삶을 준비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특수교육요구 아동들이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는 것은 지나친 욕심일지도 모른다. 우리들 중 엄격한 의미로서의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이 과연 몇 명이나 되는가. 우리는 일반적인 지역사회 서비스에서부터 사회적 서비스 기관에 이르기 까지 많은 서비스에 의존하면서 살아간다. 독립성이란 활동의 범주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시간의 비율에 따라 측정되는 상대적 개념이다. 그것은 환경의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들은 변화하며, 우리는 매일 그 요구들에 부응하 기 위해 노력할 뿐이다. 독립적 생활의 개념은 단순히 자기 의존의 범주를 뛰어넘는다. 특수교육요구 아동들에게 독립적인 생활을 준비시키는 목적은 일반인들처럼 단순히 지역사회에 접근시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지역사회에 의존하는 정도를 줄여 주는 것도 포함한다. 독립 적인 삶을 위해 준비를 잘하면, 특수교육요. 구 아동들도 서비스를 덜 받으면서 덜 제한적인 환경에서, 다시 말하면 보다 정상적인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독립적인 생활, 즉 자활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활동과, 질적 수준이 높은 환경에 접근시키는 활동을 포함한다. 자활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은, 집단 가정에서 남에 게 덜 의존하면서 살아가도록 가르치는 것에서부터 감독을 받지 않는 아파트에서 혼자서 살아가도록 가르치는 것에 이르기까지, 감독을 덜 받으면서 일을 하도록 가르치는 것에서부 터 경쟁적 고용에 배치하여 감독 없이 일을 하도록 가르치는 것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매 우 넓다.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수준에서의 특수교육은 학생들이 교육적 경 쟁의 장에서 일반 지역사회로 옮아가는 것을 도와야 한다. 이처럼 특수교육의 목적이 지역사회로의 이행·통합에 초점을 맞추게 됨으로써, 특수교육요구 아동을 위한 관련 서비스의 영역과 범주가 재정의 되고 있다. 오늘날 특수교육자들 은 장애학생들이 가정·지역사회 · 직장에서 보다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기능들을 가르쳐야 한다는 점을 깨닫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교육평가 · 교육과정 · 교육방법 · 교육환경 등이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