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jones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 본문

장애아동 특수교육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

jones 2021. 3. 14. 11:00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

어머니에 대한 성적 애착과 아버지에 대한 적대감은 아버지와의 사이에 갈등을 야기한다. 남아는 그의 경쟁자인 아버지가 자기를 해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자신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성기를 없애버릴 것이라고 상상한다. 이러한 현상을 거세 불안(castration anxiety)이 라고 한다. 이 시기의 남아(男兒)는 거세 불안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어머니에 대한 성적 욕 망과 아버지에 대한 적대감을 억압한다. 동시에 어머니가 인정하는 아버지의 남성다움을 갖기 위한 방어기제로서 아버지에 대한 동일시를 하게 된다. 이 시기의 동일시는 아이가 부모와 같다고 생각하여 부모처럼 행동하거나 혹은 부모의 태도·사고·가치 등을 자기 것으로 내면화하고자 노력한다. 이러한 동일시 과정을 통하여 남아는 어머니에 대한 성적 욕구를 간접적으로 해결할 뿐만 아니라, 아버지로부터 올 수 있는 공격에 대한 불안도 해결하게 된다. 그 결과, 성 역할을 배우고 터득하게 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여아(女兒)도 마찬가지로 일렉트라 콤플렉스의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여아의 경우는 남근이 없으므로 거세 불안에 시달리는 일은 없다. 그 대신 자기에게 없는 남근에 대한 부러운 감정, 즉 남근 조망(penis envy)을 갖게 된다. 잠복기. 일반적으로 6세에서 11세 사이가 잠복기 (latency period)에 해당되는데, 이 시기의 아동은 성적 욕구가 철저하게 억압됨으로 일종의 평온한 시기를 맞이한다. 앞의 세 단계에서 가졌 던 성적 욕망들이 이제는 지적 탐색이나 운동 등으로 전환된다. 피아제의 발달단계에 비추어 보면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되는 만큼 주위 환경에 대한 탐색 활동이 매우 활발한 시기이다. 생식기. 일반적으로 12세 이후가 생식기(genitial period)에 해당되는데, 이 시기의 아동은 사춘기 가 시작되면서 성적 에너지가 다시 분출되고, 이성에 대한 진정한 사랑을 느낄 수 있게 된 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잠복기 이전에는 자신의 신체에서 성적 쾌감을 추구하고 자기 애착 적인 경향을 보이지만, 이 시기에 접어들면 이성으로부터 성적 만족을 얻으려 한다는 것이 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춘기 이후를 이성애착기라고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이성과의 성숙한 사랑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만일 남근기를 성공적으로 거치지 못한 경우에는 권위에 대한 적대감이 해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동 일시에 있어서도 혼란이 있기 때문에, 이 시기에 야기되는 성적 에너지를 원만하게 처리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반항이나 비행 또는 이성에 대한 불안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프로이트의 이론에 대한 비판의 소리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신프로이드학파에 속하는 프롬, 야스퍼스 등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지적하고 있는데, 첫째, 프로이트는 자신이 유태인인 관계로 그의 학설은 유태인에게 특 히 강한 것을 침소봉대하였다는 점, 둘째, 인간의 정신과 행동에 대해 성(sex)을 너무 강조하였다는 점, 셋째, 정신분석은 딜타이의 양해(兪解)에 바탕을 두 고 있는데, 양해는 자연과학적인 설명과는 다른 것이 비과학적이라는 점, 넷째, 프로이트가 관찰한 것은 옳기는 하나 그 해석 방법이 너무 생물학적이라는 점 등이다. 이밖에도 인간의 성적 욕망을 지나치게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간을 성욕과 거세 불안에 지배되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존재로 보았다는 점에서도 비판을 받고 있다. 남아의 외디프스 콤플렉스나 여성에 대한 편견은, 문화 비교 연구의 결과 보편성이 없음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양심의 발달에 관해서는 주위 사람들의 격려· 인정·처벌 등이 큰 역할을 한다. 본적으로 프로이트의 이론은 성인환자의 치료과정에서 얻은 임상적 결과를 가지고 일 반 아동의 발달과정을 역으로 추정 ·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과학적 정확성의 결여가 가장 큰 결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의 이론은 성격의 발달과정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불후의 업적을 남겼다. 그의 무의식에 관한 견해는 지금도 심리학이나 심리치료 분야에서 많이 활 용 되고 있으며, 의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장애인들에게는 비교적 방어기제가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프로 이트의 방어기제를 이해함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 지도나 심리치료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꿈의 해석이라든가 자유 연상법 등은 검사가 곤란한 특수교육요구 아동을 비형식적 방법에 의해 평가하고자 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부적응 행동에 대한 심리치료, 더 나아가서 장애 아동의 상담 등에서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아동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의 개념  (0) 2021.03.16
스키너의 작동적 조건형성 이론  (0) 2021.03.15
성격 발달 단계  (0) 2021.03.13
다양한 방어기제 구체적 설명  (0) 2021.03.12
초자아의 개요  (0) 2021.03.1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