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jones

진화생물학 - 포식의 의식화 본문

진화생물학

진화생물학 - 포식의 의식화

jones 2021. 3. 26. 17:17

포식의 의식화

한층 더 기본적인 형태에서는 신호들이 새 떼의 구성원들 사이를 조정하고 또 포식자가 접근할 때 이를 경고하는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만약 적 대적인 상대가 나타나면 머리를 앞쪽으로 내밀거나 날개를 펼치는 등 날려 할 때 발휘하는 지향 동작 intention movements의 위협 신호로 의식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의식화의 정교하고도 극단적인 형태의 과시는 기본 동작들이 구애 과시 courtship displays를 이루는 데 개입되어 일어난다.유럽 가마우지 수컷에서 비상 지향 동작이 하나의 구애 과시로 의식화되었다. 암컷이 있는 데서 수컷은 날갯짓을 돋보이게 하나 실제 나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Hinda 1970에서 Cortlandt, 1940. (McGraw-Hill Book Co)에서 허락을 받음). 신호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행동 경향들 사이의 갈등이 조성하는 상반 감정의 공존 ambivalence에 의해 진화되기도 한다(Tinbergen, 1952). 수컷 한 마리가 어떤 적대자를 만난 자리에서 공격해야 할지 도망쳐야 할지 결정하지 못 하는 상태에 있거나 어떤 잠재적인 배우자에게 겁도 주고 구애도 하려 는 이중 경향을 크게 나타내면서 접근할 때 처음엔 그 어떤 행동 방향도 취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얼핏 상황과 무관한 제3의 행동을 나타낸다. 즉 그는 부근의 자갈이나 풀잎 또는 어떤 방관자와 같이 가까이 있는 어떤 대상에 공격을 가한다. 이때 이 제3의 대상은 한 마리의 속죄양이 되는 것이다. 또는 이 동물이 갑자기 그에게 주어진 상황과는 관계없이 행동유형으로서의 轉位 行動 displacement activity로 들어가기도 한다. 예를 들면 몸치장을 한다든가 가짜 鳥巢 행동을 나타내거나 먹기와 마시기의 무언극을 연출하는 등이다. 이렇게 재조정된 전위행동은 흔히 구애에 쓰이는 매우 뚜렷한 신호로 의식화되기도 하였다. 바로 이에 관해 틴베르헌 Tinbergen이 표현한 것처럼 이들 새로운 신호들은 기존의 운동패턴에서 유래된 것이며 바로 전의 기능적 제약으로부터 〈해방〉된 것이다. 신호 가운데에는 의식화된 지향 및 전위활동으로부터 진화된 것이 많다. 그러나 의식화는 침투성과 기회 성이 강한 하나의 진화과정이어서 단지 전위와 지향 활동에서 뿐 아니라 거의 모든 편리한 행동 패턴과 해부학적 구조나 생리학적 변화로부터도 발전될 수 있다. 신호의 기원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이 기원들을 둘러싸고 있는 기밀한 생물학적 상황이 어떤 것인가를 면밀하게 분석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하면 낯붉히기 blushing과 땀 흘리기 sweating 그리고 점액 분비와 배설 등(그중 어떤 것은 자율신경계의 통제하에 있는) 모든 생물학적 과정에서 보는 방식들이 종에 따라 특유하게 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바로 다음 실례들을 통해서 이러한 과정들이 다양성을 엿 볼 수 있다. 포식의 의식화 : 왜가리 Grey heron, Adrea, cinerea 수컷은 구애 의식의 일 부로서 분명 변형된 고기 잡는 행동을 나타낸다. 즉 볏과 몸 일부의 깃털을 꼿꼿이 세운 채 머리를 마치 앞에 있는 어떤 물체를 공격이나 하려는 것처럼 아래쪽으로 향하고 두 부리를 서로 부딪혀 큰 소리를 낸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