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0)
jones
성격 발달 단계 거부(negativism)는 자신이 독립된 인간임을 표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거부하 거나 반항적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별한 이유도 없이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거나, 대화하기를 거부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되는데, 거부 행동을 통하여 자존심을 보호하려는 것이다. 거부 현상은 모든 발달단계에서 볼 수 있지만 특히 청소년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격리(isolation)는 개인이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에서부터 자신을 신체적·물리적으로 차 단시키려는 기제를 말한다. 청소년이 학교로부터 귀가하자마자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서 문을 잠그고 있는 행동이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방랑(nomadism)은 불안이나 위협이 주는 상황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도피하려는 방어기제로서, 등교거부나 가출 ..
다양한 방어기제 구체적 설명 억압(repression)은 불안을 일으키거나 극도로 불유쾌한 생각들을 무의식의 영역으로 묻 버리는 방어 기제로서, 일종의 무의식적 망각이다. 억압은 많은 경우 스트레스에 대한 유 한 적응방식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다른 새로운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시험을 두려워한 학생이 시험 날짜와 장소를 잊어버리고 있다가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가 그 좋은 예이다. 또한 억압은 가끔 간접적인 형태로 표현된다. 체육 수업을 싫어하는 학생이 실수로 체육복을 준비해 오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 그것은 실수라기보다는 억압된 감정의 간접적인 표현으로 해석된다. 한편, 억압은 일시적, 부분적으로 불안을 감소시키거나 억압된 불안은 무의식 수준에서 잠재 불안의 형태로 남아 있기 때문에, 심한 정..
초자아의 개요 초자아는 자신의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를 가늠하면서 완벽함을 추구한다. 초자아는 양심과 자 아이상이라는 두 측면을 지니고 있다. 초자아의 양심은 잘못된 행위에 대해서 처벌을 받거나 비난을 받은 경험에서 생기는 죄책감과 결부된 것으로, 외부의 제재가 내면화된 것이다. 자아 이상(egorideal)은 잘한 행위에 대해서 보상을 받은 경험으로 말미암아 형성된 이상적인 자 아이상이다. 초자아는 양심과 자아 이상이 상호 작용하여 인간 행동의 도덕적 규제를 담당한다. 정신분석의 특성. 초아의 충동을 제멋대로 방출시키면 자아는 초자아의 꾸중을 듣게 된다. 자아는 세상에서 자기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하는 것 을 염려하여, 원초아의 충동적 욕구와 초자아의 꾸중과 세상에서 받을 비판을 조절해야 한 다. 만약..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의 역사적 배경 정신분석 이론은 의학자이자 심리학자인 프로이트(S. Freud, 1856~1939)에 의해 개발된 신경증의 치료법과 그 심리학적 이론 체계를 말한다. 프로이트는 자신의 학설이 처음부터 가설에서 출발한 것이고 과학적인 입증이 불가능한 것이어서 감히 정신분석학이라고 '학 (學)'자를 넣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어느 누구도 '정신분석학'으로서의 위상을 반대하지 않는다. 프로이트는 현재 체코슬로바키아의 영토인 모라비아의 프라이버그에서 태어났다. 그는 대학에 들어가서 의학을 전공하게 되었는데, 26세부터는 신경학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1885년 히스테리 환자를 관찰한 프로이트는 1889년에는 최면술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때 부터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무의식의 세..